재벌의 양면성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1 21:39
본문
Download : 재벌의 양면성에 대하여.hwp
(2) 이사회 권한 축소
한국의 상법은 기업의 최고 의사 결정기구로 이사회를 명시하고 있으나 한국 기업의 이사회 권한은 미국이나 日本(일본)의 선진 기업들과 비교할 때 작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서구 선진 기업에서 기업의 效果적인 감시를 위해 설립한 사외 이사 제도 역시 한국의 경우에 있어서는 재벌 총수와 개인적으로 친분관계가 있는 사람이 선출되었고 따라서 소액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기는 힘들었다.순서
재벌의 양면성에 대하여
재벌에 관한 data(자료)입니다
,경영경제,레포트






재벌의양면성
*. 요지...................................................................................................................1쪽
Ⅰ. 재벌의 양면성....................................................................................................3쪽
Ⅱ. 재벌 옹호론 검토
1. 소유,경영의 일치에서 오는 長點..................................................................4쪽
2. 지역경제 발전..............................................................................................7쪽
3. 고도성장에 기여...........................................................................................8쪽
4. 재벌의 인적자원...........................................................................................9쪽
Ⅲ. 재벌 비판론 검토
1. 정책분야-정경유착문제...............................................................................9쪽
2. 경제분야-소유,지배구조 상의 문제...........................................................11쪽
-경제력 집중문제........................................................................14쪽
3. 사회분야-노동자문제.................................................................................15쪽
Ⅳ. 정권별 재벌정책 검토
1. 이승만 정권..............................................................................................18쪽
2. 박정희 정권..............................................................................................19쪽
3. 전두환, 노태우 정권.................................................................................20쪽
4. 김영삼, 김대중 정권.................................................................................21쪽
Ⅴ. 개방화 물결과 바람직한 재벌의 모습..............................................................23쪽
Ⅵ. 서지사항..........................................................................................................27쪽
(1) 기업의 투명성 문제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음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問題點 중 첫 번째는 기업의 투명성 문제를 들 수 있다 22명의 재벌회장들 중에서 무려 21명이 가족 구성원으로부터 지위를 물려받았으며 재벌 2세들의 절반가량이 임원의 지위에 오른 것으로 밝혀졌다.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재벌 총수들은 얼마든지 내부 정보를 활용하여 부를 증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하여 실제 재벌 기업의 재무상태는 실제와는 거리를 두게 되었고 금융위기와 IMF의 투명성 강화 라는 한파 앞에 모두들 적자 및 부도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벌의 총수들은 한국의 불완전한 상속법의 허점을 이용하여 文化(문화)재단을 설립하거나 기업 공개 등을 통해 재벌 2세나 3세들에게 경영권을 양도하기도 하고 자식들의 부를 증식시키기 위해 내부거래 또한 불법적으로 사용한다. 이는 재벌 총수가 무소불위의 권한을 갖고 있는 기업지배구조의 property(특성)상 과거 재벌 총수가 관행적으로 이사를 임명하기도 했고 이사회는 중요한 의사 결정에 대하여 승인하는 역할에 그친 것에 기인한다.
(3) 소액주주들의 권리 침해와 대리인 문제
재벌의 총수 또는 일가가 내부정보를 활용한 거래를 통하여 자신의 가족에게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부를 증식시킨 경우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삼성 이건희 회장의 아들인 재용 씨가 60억원을 증여받고 그 돈으로 관련사 비상장 기업의 전환사채를 구입한 후 그 기업이 상장되자 곧바로 주식으로 전환하여 상당한 액…(To be continued )
Download : 재벌의 양면성에 대하여.hwp( 58 )
레포트/경영경제
재벌에 관한 자료입니다재벌의양면성 , 재벌의 양면성에 대하여경영경제레포트 ,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