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dan.co.kr 야생화의 촬영 > sudan1 | sudan.co.kr report

야생화의 촬영 > sudan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udan1

야생화의 촬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3 14:32

본문




Download : 야생화의 촬영.hwp







광선의 ...


레포트/기타

야생화의 촬영

야생화의%20촬영_hwp_01.gif 야생화의%20촬영_hwp_02.gif 야생화의%20촬영_hwp_03.gif 야생화의%20촬영_hwp_04.gif 야생화의%20촬영_hwp_05.gif 야생화의%20촬영_hwp_06.gif





모든 카메라의 촬영에서와 마찬가지로 야생화의 촬영에 있어서도 거의 생명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요소는 역시 광선 문제가 될 것이다.,기타,레포트

설명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요소는 역시 광선 문제가 될 것이다.
광선의 양, 즉 노출에 따라 작품이 성패가 좌우되는 것은 물론이려니와, 그
종류에 따라 작품의 질이 결정되어 평범하고 기록적인 야생화사진으로 남느
냐 아니면 하나의 작품으로 승화되느냐하는 절대적인 요소로 작용하기때문
이다.

2) 광선의 종류

광선은 크게 순광, 역광, 측광, 톱광, 반사광등으로 나뉠수가 있는데
첫째 순광은 촬영자가 해를 등지고 선 자세에서 피사체가 광선을 정면으로
받아들이도록 촬영하는 것으로, 평범해 보이기 쉬운 약점은 일반적으로 널
리 사용되는 광선이다.
그러므로 지난번 글의 `1.카메라의 장비``2.필름의 선택`등 준비에이어 촬
영에 들어가기 위한 기초지식으로 가장 먼저 광선의 문제를 언급하려고 하
니, 하니의 꽃을 테마로 잡고 여러광선을 사용해 좋은 공부가 될것이다.
광선이 부족할 때 주위해야 할 점은 빛의 양을 최대라도 하기위해 셔터의
속도가 낮아지게 될 경우, 자칫 흔들리기 쉬우므로 카메라를 삼각대에 고
정시키는 것은 물론, 미세한 바람이라고 가능한 대로 막고 촬영에 임해야
할 것이다.역광은 순광과 정반대로 해를 바라 본 위치에서 촬
영하는 것으로, 자칫하면 렌즈에 빛이 들어오거나 적정 노출의 어려움, 드
터운 그림자 부분의…(투비컨티뉴드 )
다.


1) 노출

노출은 다른 일반적인 자연사진과 크게 다를 것이 없는데 다만, 광선의 양
이 부족할 경우가 많고보다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므로 하나의 작품을 위해
서 최소 3cuts이상 할애, 노출을 변경시켜 보는 계단 노출이 필수적이라
할것이다.
특히 야생화는 그 시기와 개화시간을 놓칠 수 없을므로 날씨가 흐리거나
그늘이 심한 계곡 등 광선의 절대량이 부족한 경우에도 촬영을 강행해야
하는데, 이럴때는 인공광인 스트로보(후렛쉬)의 도움을 받아 촬영하는 것
도 한 방법이 될 것이다.광선의 ... , 야생화의 촬영기타레포트 ,

Download : 야생화의 촬영.hwp( 91 )




모든 카메라의 촬영에서와 마찬가지로 야생화의 촬영에 있어서도 거의 생명
순서



모든 카메라의 촬영에서와 마찬가지로 야생화의 촬영에 있어서도 거의 생명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요소는 역시 광선 문제가 될 것이다.
전체 6,78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udan.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